변산반도로의 여행을 떠나기로 하고 계획을 세우며 변산반도의 위성사진을 보던 중 격포항 한켠에 군함과 비행기 등의 사진을 발견하고 격포항을 들러야겠다고 다짐하고서 격포항을 찾게 되었다.
격포항은 변산반도에서 제일 큰 항구다. 위도와 식도를 다니는 여객선도 운항하고 유람선도 운항한다. 그리고 변산반도로의 여행을 온 관광버스들은 대게 이 곳에 들린다. 싱싱한 횟감과 각종 수산물이 거래되어 회식당도 모여있다. 그 때문에 호객꾼도 많다. 잠깐 쓰윽 둘러본 사이에 받은 명함만 5개가 넘더군요.
옛날 해양수산부, 즉 지금의 국토해양부 (무슨 놈의 국가기관 이름이 이리도 자주 바뀌는지...)에서 선정한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어촌 100개소' 중 한 곳으 낙조도 아름답고 계절별로 주꾸미, 갑오징어, 광어 등의 수산물이 많이 난다. 사진 속의 산은 닭이봉이라고 하는데 꼭대기의 팔각정에서는 격포 앞 바다에 떠있는 위도와 칠산 앞바다를 바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저 닭이봉 너머에 채석강이 자리 잡고 있다.
마침 어선 한척이 갑오징어와 함께 광어 몇마리를 잡아서 격포항으로 들어왔다. 어부들의 표정을 보아하니 만족할만한 어획량은 아닌듯 하다. 봄에는 주꾸미들로 가득했을 격포항.
격포항 여객터미널을 떠나는 위도카페리.. 격포항에서 위도로 가는 배는 평일 6회, 주말 8회 운행한다. 사진 속의 위도 카페리호 말고도 파장금고속훼리호도 운항을 한다.
위도는 1993년 10월 서해훼리호침몰사고가 났던 곳이죠. 당시 서해훼리호의 승선정원은 221명이었으나 362명이 탑승, 141명을 초과 승선시켰고 수화물을 갑판에 적재함으로 인해 측면파도를 맞았고 배의 복원력이 상실되어 침몰을 하여 292명이 사망했던 대형사고였다. 다시는 그런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봄철에 주꾸미가 잡히면 격포항은 관광객들로 북적인다. 격포항 곳곳에 쌓여있는 주꾸미 잡는 소라방.. 주꾸미를 잡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줄에 소라를 메달아 바다에 내려보내면 주꾸미가 알을 낳기 위해 자연스레 이 소라 안에 자리를 잡게 된다.
격포항 한켠에 전시되어 있는 LST-678(북한함)의 모습이다. LST는 Landing Ship Tank, 즉 전차상륙함으로 앞에 배의 선수가 개방되어 전차를 비롯한 각종 군용물자들을 수송한다. 사실 이 배는 2차대전에서 미군에서 활용하던 배를 한국전쟁 직후 한국군에 이전된 것이다. 2005년 퇴역하여 이곳 격포항에 전시중이나 축제기간에만 내부를 공개하는 듯 하다. 우리가 방문했을 때는 관리상태도 별로였고 공개도 하지 않았다.
오른쪽은 M47전차로 2차세계대전 직후 1952년에 개발되어 미군의 주력전차로 운영되었다.
가운데는 M-110 자주포, 왼쪽에는 LVTP7 상륙장갑차..
나이키 미사일...
F-4D 팬텀...
T-37 훈련기...
2006년 부터 무엇인가를 조성한다고 저리 갖다놓긴 한 것 같은데 관리도 제대로 안되는 듯 하고~ 격포항을 찾은 이로 하여금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할 수도 있을 법 하나... 안타까울 따름이다.
위에 전시된 군사무기들에 대한 정보는 잘 몰라서... ^^;; 어쨋거나 격포항에서 밥 먹고 아이들에게 보여주면 좋은 구경거리가 될 듯 싶다.
☞ 변산반도에 대한 다른 포스트 보기
- [부안변산맛집] 해변촌 - 갑오징어 돌판구이 / 해물만두전골
- [부안변산맛집/한정식] 군산식당 - 충무공정식
- [숙박] 부안 변산반도 - 휴리조트
- [숙박] 부안 변산반도 곰소 - 스폐셜타운 (모텔)
- [부안군] 줄포만 갯벌 습지보호지역
'┣ 여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춘천 고속도로 노선 이용 안내 (0) | 2009.07.16 |
---|---|
[인천] 과거로의 여행 - 인천 배다리 숨은그림 찾기 (0) | 2009.07.08 |
[강원 화천] 화천 한옥학교 - 전통한옥체험 (0) | 2009.06.30 |
[동해시/망상해수욕장] 2009년 바뀌는 망상해수욕장 (0) | 2009.06.30 |
[속초시/속초해수욕장] 2009년 속초해수욕장 시설사용 요금표 (0) | 2009.06.30 |